미
질: 쌀의 외관특성과 이화학적 특성 -
외관특성 : 쌀 모양, 크기, 균일도, 심복백 정도, 투명도 등을 종합평가
-
이화학적특성 • 아밀로스 함량 : 밥의 찰기와 관련이 있고,
국내육성 품종은 17∼20%정도임 • 호화온도(밥이되는 온도) :
취반특성과 관련, 소비자들은 호화온도가 낮은 쌀을 선호하며
국내
육성
품종은 호화 온도가 70℃이하로 낮음 • 단백질 함량 :
취반시 쌀의
호화 및 팽창에 영향, 그리고 밥의 노화와 관련 있으며 국내 쌀의 단백질
함량은 7∼9%정도임. • 향기,
탄력성 : 단백질 함량이 높으면 영양측면에서는 좋으나 구수한 맛
등은 좋지 않으므로 식 미측 면에서는
낮은 것이 유리함 • 아밀로그램 특성 : 전분의 호화 및 노화특성
분석 .식미 및 가공적성과 관련 • 기 타 : 미량원소(K, Mg), 호응집성
(점성 관련특성) 등. 밥맛에 관여하는 무기성분인 P,Mg (인산/마그네슘)
함량이 높을수록 N.K. Amylose(질소,칼륨,아밀로즈) 함량은 낮을
수 록 밥맛이
좋다는 연구결과가 있음.
밥
맛 : 쌀로 밥을 지어 먹을 때 느끼는 맛 -
관능검정:
평가요원이 밥의 냄새, 찰기, 질감, 맛 등에 대하여 기준미와 비교하여 상대적으
로
평가 식미측정기계를 이용한 식미 검정 : 밥의 윤기 등 식미를 분석
◑
맛있는 쌀을 어떻게 구분할까요? ◑ 일단
눈으로 보아 쌀알이 통통하고 반질반질 광택이 나면서, 분이 없는
것이 맛 있는 쌀 입니다. 되도록 표면이 부서진
낟알이 적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 데, 그 이유
는 밥을 할 때
부서진면에서 전분과 냄새가 흘러나와 밥알
모양이 쉽게 흐트러 지고 질척해지기 때문입니다.
그리고 맛있는
쌀은 수분함량에 큰 차이가 있는데, 밥맛이 가장 좋은 수분량은
16%정도로 도정한지 15일 이내의
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.
완전미(
Head Rice) 정상적인 쌀의 3/4이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
쌀로서 싸라기, 착색립, 피해립, 불완 전 등숙립 등을 제거한 쌀.
|